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전통적 임상모델, 학교변화 모델, 지역사회-학교 모델, 사회적 상호작용 모델, 학교-지역사회-학생 관계 모델)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1
이어지는 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2편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은 크게 전통적 임상모델, 학교변화 모델, 지역사회-학교 모델, 사회적 상호작용 모델, 학교-지역사회-학생 관계 모델이 있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지침이 될 수 있는 각 모델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겠다. 1. 전통적 임상모델 1) 개념 전통적 임상모델은 정신분석학, 자아심리학, 개별사회사업이론에 근거한 모델이다 학생의 문제가 학생 개인이나 가족, 혹은 이 둘의 역기능적인 어려움으로 발생한다고 보며 이를 해결하지 않고는 학교교육이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사는 학업성취나 학교적응에 방해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가진 개별학생에 대해 개입하고 필요할 경..
2023.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