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의역사3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4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3편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4. 2000년대 이후 경제 양극화, 중산층 붕괴 등의 사회 변화와 2006년, 2008년 두 차례의 국제 경제위기로 인해 경기침체와 저성장에 머물고 있다. 2000년대 이후의 양극화 및 세대갈등 양상은 심화되고 있으며 경제적, 사회적 갈등도 증폭되고 있어 사회통합을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김대중 대통령(1998. 2~2003. 2) 시기에는 빈곤 실업대책과 사회복지공동모금제도, 시,도 사회복지사협의회의 독립법인화를 실시하였고 사회복지 관련법으로는 고용보험법, 국민의료보험법,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사회복지공동모금법, 사회보장기본법 등을 제정하였다. 특징으로는 전 국민대상의 의료보험, 국민건강보험, .. 2023. 5. 18.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3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2편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3. 대한민국 정부수립 ~ 1990년대까지 1) 대한민국 정부수립 ~ 1950년대 6.25전댕 이후 당시 사회적 이슈는 국제원조 및 전쟁고아의 수용이었다. 국가정체계로는 사회부가 보건, 노동, 후생, 부녀문제를 담당했으며 이후 1949년 3월에 보건부로, 1955년 2월에 보건사회부로 바뀌었다. 제헌헌법 제19조(생존권 규정)에서는 "노령, 질병, 기타 근로능력이 없는 자는 법률로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도록 한다"고 규정했다. 6.25전쟁 이후 전쟁고아와 이재민 등으로 인해 난민이 급증하였고 이들을 위한 보건복지사업이 시행되었다. 1951년 난민 일제등록 시 약 782만 명의 구호대상자들에게 국제기구와 민간기구.. 2023. 5. 18.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1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2편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1. 고조선 ~ 조선시대 1) 고조선시대 고조선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로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 사상을 바탕으로 통치되었다. 이에 사회 내에 빈곤 및 궁핍자가 생기거나 어려움에 처했을 경우 집단공동체의 공동연대의식에 의해서 도움을 주고받는 가장 원시적인 상호부조활동을 펼쳤는데, 거시적이며 획기적인 차원의 사회정책으로 '8조법금'은 사회의 질서와 안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국민의 신체, 생명, 정조, 재산 등의 생존권적 기본권을 지향하는 우리나라의 최초 복지제도라고 할 수 있다. 2) 삼국시대 삼국시대 당시 구제사업의 특징은 백성들이 기상태에 빠졌을 경우 국고로 비축된 양식을 풀어서 백성들을 구제하는 등 국가주도.. 2023.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