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2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특성, 기능, 가치, 영역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특성, 기능, 가치, 영역에 대해 살펴보겠다.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특성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사회복지정책은 사회복지와 정책의 합성어이며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정책의 개념을 정의한다면 사회복지정책이란 "사회 구성원 전체의 욕구 충족 또는 바람직한 생활수준을 이루기 위하여 정부를 비롯한 관련 조직의 행동지침, 활동,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정책의 개념은 각 국가마다 조금씩 다른데 영국, 독일의 경우 사회복지정책이라는 용어보다는 사회정책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미국에서는 사회복지를 공공부조와 비슷한 개념으로 인식하며 그 범위를 협소하게 규정하고 있다. 다양한 학자들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종합했을 때 사회복지정책이란 "국민의 삶의 질 향상, 계층간 생활 수준 차이.. 2023. 6. 1.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2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편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 일제강점기 ~ 1950년대 1)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의 사회사업은 조선 말엽부터 유입된 구미제국의 자선구제사업이 사회사업이라는 용어로 바뀌게 되었으며 사회사업이 하나의 학문으로 태동하고 발전하기 시작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것은 근대적 사회사업의 성립시기라고 볼 수 있으며 재단법인 조선사회사업협회가 있어 민간사회사업을 제도하고 통제 및 강화하였다. 사회사업의 내용으로는 온정주의정책을 실시했는데 예를 들어, 한일합방 당시에 일본 천왕이 임시 은사금을 3천만 엔 주어 구제사업 및 대부금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식민지 국민들의 불만을 무마시키기 위한 정책을 펼쳤다. 또한 각 도에 지침을 내려서 일반 민중들이 무위도식하는 풍조.. 2023. 5. 18.